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틸팅 그라운드 Tilting toward ground

  • 전시분류

    개인

  • 전시기간

    2025-08-28 ~ 2025-10-26

  • 참여작가

    강동주, 강하진, 곽이브, 김경태, 문이삭, 박기원, 백경호, 신현정, 이민지, 정현, 정희민 Dongju Kang, Kang Hajin, Eve Kwak, Kyoungtae Kim, Moon Isaac, Park Kiwon, Baek Kyungho, Fay Shin, YI Minji, Chung Hyun, Heemin Chung

  • 전시 장소

    인천아트플랫폼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32-760-1000

  • 홈페이지

    http://www.inartplatform.kr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전시정보

- 전시제목: 틸팅 그라운드 Tilting toward ground
- 전시기간: 2025. 8. 28.(목) ~ 10. 26.(일)
- 초대일시: 전시 오프닝 2025. 8. 28.(목) 16:00
- 전시장소: 인천아트플랫폼 전시장 1(B), 야외 공간
- 전시장소: Incheon Art Platform Gallery 1 (B) and Outdoor
- 관람시간: 화요일 – 일요일 11:00 – 18:00, 매주 월요일 휴관


작가정보

- 참여작가
: 강동주, 강하진, 곽이브, 김경태, 문이삭, 박기원, 백경호, 신현정, 이민지, 정현, 정희민 Dongju Kang, Kang Hajin, Eve Kwak, Kyoungtae Kim, Moon Isaac, Park Kiwon, Baek Kyungho, Fay Shin, YI Minji, Chung Hyun, Heemin Chung


전시서문

틸팅으로 세계와 만나기

우리는 어떤 순간에 몸을 기울이게 될까요? 작은 신호를 감지했을 때, 익숙한 풍경에서 놓쳤던 무언가를 발견했을 때, 혹은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고자 할 때, 우리는 귀를 기울이고, 고개를 낮추며, 몸의 무게중심을 조심스레 옮겨 새로운 균형을 찾아갑니다. 

틸팅(tilting)은 우리 일상 곳곳에 스며 있습니다. 다른 물체를 보기 위해 고개를 숙이거나 젖히고, 음향을 미세하게 조율하며, 불편한 자세에서 편안함을 찾을 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기울임을 수행합니다. 변화를 감지하면 방향을 틀어 보기도 하고, 대화 중 상대의 표정을 읽기 위해 몸을 앞으로 기울이기도 합니다. 놓친 것이 있다는 직감이 들 때, 숨은 뉘앙스를 알아차리려 할 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자세를 바꾸고 시선을 가다듬으며 다시 보고 듣습니다. 이러한 기울임의 순간들은 세계와 맺는 관계를 끊임없이 맞추고자 하는 시도입니다.

2025년 인천아트플랫폼 기획 전시 《틸팅 그라운드(Tilting toward Ground)》는 이러한 ‘기울임’의 감각에 주목합니다. 효율과 속도의 시대, 우리의 시선은 위로, 앞으로, 멀리 향하지만 정작 놓치고 있는 것은 발 밑의 기반과 주변의 미세한 변화일지도 모릅니다.

우리의 몸이 최초로 접촉하고 반응하는 접촉면이자, 모든 존재가 발 딛고 선 물리적 기반이며, 오랜 시간과 경험이 축적된 지층을 이 전시에서는 '그라운드(ground)'라고 일컫습니다. 또한 그라운드는 디지털 이미지와 그것을 둘러싼 물질적 전환, 존재들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의 장으로서 경험과 기억이 축적된 층위이자 예술가의 작업이 시작되는 물리적 지지체를 뜻하기도 합니다. '틸팅'은 이러한 그라운드를 향해 몸을 능동적으로 기울이고, 균형을 다시 맞추며 세계와 새롭게 마주하려는 움직임입니다. 

《틸팅 그라운드》는 그라운드를 물질적·존재적 기반으로 삼아 미세한 변화의 층위를 포착하는 11명의 동시대 작가들의 예술적 탐구를 조명합니다. 참여 작가들은 각자의 매체와 방법을 통해 그라운드를 향한 기울임을 실천합니다. 이들은 물질의 숨은 성질을 드러내고, 환경의 미묘한 변화에 반응하며, 장소의 조건과 맥락에 예민하게 응답합니다. 이들의 작업은 도시와 자연, 중심과 주변, 물질성과 비물질성이 교차하는 지형 위에서 이루어지며, 우리가 쉽게 지나쳐온 물질의 작은 움직임, 시간의 흔적, 표면의 질감, 빛과 기억의 시차를 예리하게 감각하고 표현합니다.

강동주는 도시의 밤 지표면을 손끝으로 더듬거나 빗물이 남긴 얼룩을 따라가며 주변 환경이 보내는 미세한 신호를 담아냅니다. 문이삭은 산과 강에서 채집한 흙이 지닌 예측 불가능한 물성을 조형의 중심에 놓고 물질과의 감응적 대화를 지속하며, 정현은 강원도 고성에서 불에 탄 나무와 바닷가에서 수집한 돌에 새겨진 깊은 시간과 에너지를 읽어냅니다. 이민지는 사진 매체로 빛의 물질성과 시차를 탐구하며, 인천과 소청도, 센다이와 히로시마 등 경계의 장소에서 과거와 미래가 교차하는 순간을 포착합니다.

강하진은 ‘자연율’이라는 개념 아래 넓적한 붓으로 무수히 점을 찍고 지우는 수행을 통해 화면에 미세한 시간의 층위를 쌓아 올리고, 백경호는 그물처럼 교차하는 선들과 반복적 덧칠로 일상의 감정과 기억을 건져 올려 캔버스에 촉각적 긴장과 깊이를 형성합니다. 박기원은 빛과 공기의 흐름, 걸음에 반응하는 원형 금속의 소리를 통해 공간에 잠재된 보이지 않는 감각을 일깨우고, 신현정은 천과 염료가 우연히 만들어낸 표면의 흔적과 흐름을 통해 물질이 스스로 변화하고 생성되는 과정을 받아들이며 회화적 실험을 이어갑니다.

김경태가 포커스 스태킹 기법으로 사물의 표면을 극도로 선명하게 확대하여 익숙한 대상의 낯선 표면을 드러낸다면, 정희민은 젤 미디엄, UV 프린트, 화산석 등 이질적 재료들을 사용하여 인공조명에 이끌리는 연약한 생명체인 도시 주변부의 나방의 존재를 물질화하면서 실재와 잔상, 디지털과 물질 사이의 불안정한 경계를 탐구합니다. 곽이브는 대기권을 100개 층위로 나누고 고도에 따라 희박해지는 대기의의 농도를 색의 그라데이션으로 표현한 <하늘의 구조>(2016)를 엘리베이터 타워와 전시장 통로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설치하여 관람객이 평소 인지하지 못한 하늘의 층위적 구조를 경험하게 합니다.

《틸팅 그라운드》는 미세하고 쉽게 간과되는 움직임과 신호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기울임은 섣부른 판단을 유보하고, 보이지 않던 리듬과 흔적을 발견하며, 천천히 반응하기를 요구합니다. 흙의 입자, 빛의 변화, 공기의 밀도, 시간의 흔적과 같은 구체적인 것들이 우리의 일상을 구성합니다. 참여 작가들은 바로 이 미묘한 틈새에서 각자의 조형 언어를 길어 올립니다. 
관람객 여러분도 평소보다 주의 깊게 전시장에 머물며 세계의 약한 신호에 다시금 귀 기울이기 바랍니다. 땅을 향해 몸을 기울이는 일은 무심히 지나쳤던 존재들을 만나는 일입니다. 
전시는 습관적 바라보기를 멈추고 물질적 기반이 품은 변화를 감각하기를 제안합니다. 틸팅은 인간과 비인간, 생물과 무생물,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을 아우르는 우리 주변의 다른 존재들이 보내는 신호에 응답하는 태도이자, 세계의 변화와 리듬에 몸을 기울여 새로운 관계를 맺어가는 방식입니다. 표면 아래 숨은 질감, 빛과 그림자의 떨림, 물질이 품은 시간, 공간의 보이지 않는 리듬들을 감지하는 순간, 우리는 이전에 보지 못했던 새로운 방식으로 세계와 마주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작가 약력


강동주 〈밤 산책〉, 2021, 종이에 연필, 30×30cm


강동주(b.1988)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학과 학사와 석사를 졸업했다. 주변의 일상적 풍경부터 우주적 차원까지 다양한 시공간을 관찰하며, 흑연과 연필 드로잉, 프로타주 등의 기법을 통해 장소에 축적된 감각적 자취와 시간의 변화를 회화의 잠재성 속에서 탐구한다. 개인전 《Cast》(아마도예술공간, 서울, 2025), 《언젠가의, 그곳에 빛이 비추고》(에이라운지갤러리, 서울, 2022), 《창문에서》(취미가, 서울, 2018)를 열었으며, 《걷기, 헤매기》(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23), 《미니멀리즘-맥시멀리즘-메커니즈즈즘》(아트선재센터, 서울, 2022) 등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아마도예술공간 제2회 아마도작가상(2024)을 수상했다.



강하진 《컬러풀 한국 회화 - 조화에서 정화까지》 전시 전경(아트스페이스3, 서울, 2023).  사진 제공: 아트스페이스3.

고(故) 강하진(1943-2023)은 대구에서 태어나 1974년 인천에 정착한 이후 반세기 동안 회화와 설치를 넘나드는 독창적인 작업 세계를 구축했다. 1970년대 초 신체제 그룹의 핵심 구성원으로 한국 실험미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1980년대부터는 천(布)을 주요 지지체로 삼아 반복과 비움의 미학을 통해 ’자연율(自然律)’이라 명명한 독자적인 회화 언어를 정립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부엽토, 장작 등 자연물을 활용한 설치 작업으로 동양적 사유와 물질적 시간성을 깊이 있게 탐구했다. 생전 다수의 개인전과 100여 회가 넘는 국내외 주요 기획전에 참여했다.



곽이브 〈하늘의 구조〉, 2016, 인쇄, 36.4×25.7cm

곽이브(b.1983)는 인천에서 태어나 물리적 환경과 삶의 구축성에 주목하며, 평면과 입체를 넘나드는 매체로 건축적 형태와 행위를 탐구한다. 흑백사진 속 건축물을 역원근 부조로 재조합한 〈공간드로잉〉, 아파트 평면도를 시멘트 조각과 디오라마로 구현한 〈배산임수〉·〈바닥의 높이〉, 대량 생산 인쇄물을 건축 자재처럼 활용한 〈면대면〉, 복제되는 실내 장식과 의복 양식을 다룬 〈백투더퓨쳐〉, 흰머리와 치매를 통해 시간의 구축성을 시각화한 〈흰머리〉 등이 대표작이다. 최근에는 장소와 작품이 맺는 배경의 연쇄 효과, 장소가 가상이 되는 순간, 그리고 공간 소비의 양상을 시각화하는 방법을 연구하며 개인전 《이사24 MoveMove》(Hall1, 서울, 2024)를 열었다.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2017)에 참여했으며 송은미술대상 우수상(2019), 금호영아티스트(2014)에 선정되었다.

 

김경태, 〈Bumping Surfaces - Strelitzia C〉, 2021, 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 200×150cm.

김경태(b.1983)는 중앙대학교에서 시각 디자인을 공부하고 스위스 로잔 예술 대학교(ECAL)에서 아트 디렉션 석사과정을 마쳤다. 크고 작은 사물을 촬영하여 재현의 이미지를 통해 바라보는 경험과 형식에 관해 질문한다. 개인전 《유한하고 끝이 없는 힘》(하이트컬렉션, 서울, 2024), 《Linear Scan》(휘슬, 서울, 2022), 《Bumping Surfaces》(두산갤러리, 서울, 2021), 《표면으로 낙하하기》(휘슬, 서울, 2019)를 열었으며, 《젊은 모색 2023》(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23), 《불안한 사물들》(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서울, 2019) 등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동백꽃 도감』(화이트아이프레스, 2025), 『From Glaciers To Palm Trees』(프레스룸, 2021), 『공예: 재료와 질감』(온양민속박물관, 2020), 『표면으로 낙하하기』(프레스룸, 2019) 등 여러 사진집을 발간했다. 

 

문이삭 〈Flow〉, 2024, 한강에서 채집한 흙과 식물, 
채집한 나무를 태워 만든 숯과 재, 닥섬유, 가변크기. 수림큐브 제작 지원.

문이삭(b.1986)은 소조의 개념을 재해석하며 동시대 시각성과 사물, 그리고 이와 상호작용하는 인간의 경험을 탐구한다. 작가에게 소조는 점토 조형을 넘어 덧붙이기와 가소성 실험을 통해 이미지와 사물 사이의 존재를 탐구하는 행위이다. 채집한 흙과 식물의 예측 불가능한 물성을 수용하며, 세라믹을 조형하거나 한지를 제작하는 등 확장된 방식의 실험을 팬데믹 이후 지속하고 있다. 개인전 《Rock&Roll》(뮤지엄헤드, 서울, 2022), 《Beam Me Up!》(금호미술관, 서울, 2021)을 열었으며, 《미니버스》(아르코미술관, 서울, 2025), 《Tenses》(휘슬, 서울, 2025), 《화이트스페이스》(수림큐브, 서울, 2024), 《제23회 송은미술대상》(송은, 서울, 2023)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박기원, 〈광야(廣野)〉 작업 계획안, 2025. 작가 제공.

실제 작품: 박기원, 〈광야(廣野)〉, 2025, LED 평판 조명, 반투명 미색 비닐, 5,070×1,400cm. 인천아트플랫폼 제작 지원.

박기원(b.1964)은 충북대학교 미술교육과를 졸업하고, 회화와 설치를 넘나드는 작업을 통해 공간, 감각, 구조의 관계를 탐색해왔다. 개인전 《대화》(서울식물원, 서울, 2022), 《웍스 퍼니처》(차스튜디오, 인천, 2022), 《연속》(313아트프로젝트, 서울, 2019)를 열었으며, 《모든 조건이 조화로울 때》(프로젝트 스페이스 라인, 서울, 2024), 《시공 時空 시나리오》(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24), 《어디로 주름이 지나가는가》(아르코미술관, 서울, 2023) 등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2005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전시 작가로 선정되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2010), 김세중조각상(2022)을 수상했다. 현재 인천 중구에서 차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백경호 〈해골 온라인〉, 2021-2025, 캔버스에 유채, 나무 판넬, 194.7×200.4cm.

백경호(b.1984)는 인천 출생으로 회화를 기반으로 한 조형 실험을 통해 변화와 생동의 감각을 추구한다. 유화를 주재료로 색과 선, 질감이 화면 위에서 충돌하고 어우러지는 과정을 통해 회화의 자율성과 감각적 긴장감을 구축한다. 《산책유후》(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서울, 2022), 《SERENDIPITY》(드로잉룸, 서울, 2021), 《붉은산 라운지》(공간1, 서울, 2012) 등의 개인전을 열었고, 《에포케: 판단중지》(눈 컨템포러리, 서울, 2024), 《제23회 송은미술대상》(송은, 서울, 2023), 《13번째 망설임》(아라리오갤러리, 천안, 2021), 《오 친구들이여, 친구는 없구나》(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 2017) 등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신현정, 〈변형과 독과 시〉, 2022-2023, 아크릴, 염료, 멀베리, 탈색된 면, 모달, 쉬폰, 실크, 와이어, 가변크기.

신현정(b.1979)은 표면과 지지대로 이루어진 열린 구조의 회화를 실험한다. 자신을 둘러싼 환경, 물질, 자연과의 관계를 되돌아보며 내려놓음과 기다림을 통해 ‘만들어지는’ 회화를 전개해왔다. 개인전 《림파 림파!》(갤러리조선, 서울, 2023), 《멀베리, 락스, 아크릴의 상태》(인천아트플랫폼, 인천, 2022), 《우리 안의 공기》(갤러리수, 서울, 2020)를 선보였고, 《원더 스퀘어》(뮤지엄헤드, 서울, 2025), 《화가들의 밤: 구르는 연보》(합정지구, 서울, 2024), 《화이트 랩소디》(우란문화재단, 서울, 2020) 등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2022)에 참여했다.



이민지, 〈빛의 파노라마〉, 2024,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 144×111cm.

이민지(b.1986)는 본 것과 못 본 것을 찍으며, 찍은 것들의 시차를 가늠하며 단어와 목소리를 붙이는 작업을 진행한다. 개인전 《미래비미래》(부연, 인천, 2024), 《오직 미래만이 과거를 방문한다》(인천아트플랫폼 프로젝트 스페이스 2, 인천, 2023), 《고스트 모션》(갤러리조선, 서울, 2021)을 열었으며, 사진책 『고스트 모션』(2021), 『그때는 개를 제대로 잘 묻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2019)를 출간했다. 《오르트 구름》(아르코미술관, 서울, 2025), 《My Sky Your Sky》(휘슬, 서울, 2024), 《리브 포에버》(하이트컬렉션, 서울, 2019) 등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2023)에 참여했다.




정현 《덩어리》 전시 전경(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 서울, 2023). 사진: 임장활, 사진 제공: 서울시립미술관.

정현(b.1956)은 인천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조소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파리국립고등미술학교 조소과(DNSEP)를 졸업했다. 철길 침목, 폐자재, 아스콘 등 사라지거나 버려진 물질에 각인된 시간성을 통해 인간 존재와 조각의 본질을 탐색한다. 조각뿐 아니라 목탄 드로잉, 설치, 수묵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든다. 《낮은 물질들로 쓰여진 시》(청주시립미술관, 청주, 2025), 《뭍으로 걸어가》(아트스페이스카고, 인천, 2025), 《덩어리》(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서울, 2023), 《시간의 초상: 정현》(성북구립미술관, 서울, 2022) 등의 다수의 최근 개인전을 열었으며, 국내외 주요 기획전에 참여했다. 김세중조각상(2014),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2006) 등을 수상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정희민, 〈오래된 선지자로부터〉, 2024, 캔버스에 젤 미디엄, 레진, UV 프린트, 194×130cm.

정희민(b.1987)은 디지털과 물질이 교차하는 경계에서 발생하는 감각을 회화와 조각의 언어로 풀어낸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Umbra》(타데우스 로팍, 런던, 2024), 《Receivers》(두산아트센터, 서울, 2023), 《Seoulites》(뮤지엄헤드, 서울, 2021), 《An Angel Whispers》(P21, 서울, 2019) 등의 개인전을 열었으며, 《지금 우리의 신화》(타데우스 로팍, 서울, 2023), 부산비엔날레(부산, 2022), 《걱정을 멈추고 폭탄을 사랑하기》(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서울, 2022),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9) 등 국내외 주요 기획전에 참여했다.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2019)에 참여했다. 제13회 두산연강예술상(2022)을 수상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