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화가 정정엽의 여행 스케치북: 콩은 어디든 굴러간다

  • 청구기호
  • 저자명정정엽 지음
  • 출판사이른비
  • 출판년도2025년 7월
  • ISBN9791198285065
  • 가격18,000원

상세정보

콩으로 세상을 그리는 미술가인 저자가 혼자 떠난 해외여행은, 사흘이면 3개월, 일주일이면 7개월을 살 수 있는 숨구멍이었다고 말한다. 40권의 스케치북으로 남은 여행 스케치는 그런 삶의 기록이다. 특히 가기 어려운 나라를 골라 담고, 나이와 상관없이 다녀올 수 있는 여행 방식과 동료 작가들과 갔던 남미를 들려준다.

책소개

여행이 끝나면 한 권의 스케치북이 남았다

콩과 팥을 그리는 화가 정정엽이 30년 동안 세계를 다니며 그린 풍경의 기록들

한국의 대표적인 여성주의 미술가이자 이중섭미술상, 고암미술상, 양성평등문화상 수상 작가 정정엽의 스케치 여행 에세이. 콩과 팥을 그리는 작가로 알려진 정정엽은 이 책에서 “우리는 저마다 가능성을 품고 있는 한 알의 콩과 같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자신 새로운 땅을 향해 굴러가는 콩처럼, 수많은 나라들을 여행했던 이야기를 들려준다.

30년 동안 여행하며 쌓인 40권의 스케치북 가운데 킬리만자로와 데스밸리, 남미 여행 등을 소개하며 그곳들이 생각보다 멀지 않다고, 나이와 상관없이 접근할 수 있는 자신만의 여행 방식이 있다고 말해준다.


30여 년 전 아직 해외여행이 보편화되지 않았던 당시, 결혼해서 아이가 있는 여성이 혼자 여행을 간다는 일은 사회적으로 이해받기 어려웠다. 하지만 그는 작업과 육아, 살림을 병행하며 마치 숨 쉴 틈과 같던 여행을 이어갔다. 여행 스케치는 그에게 풍경의 기록이자 고유한 삶의 기록이었다. 그는 여행스케치를 하는 몇 가지 방법을 알려주며 말한다.

“그림은 사진보다 기억을 더 잘 불러온다. 그리기 위해 유심히 보았던 풍경은 오랫동안 지워지지 않는다. 나만의 손때 묻은 기록을 갖고 싶다면 이제 작은 노트와 펜을 챙겨 보자. 어린 시절 그림일기를 그렸던 우리는 누구나 여행 스케치를 할 수 있다.”


여행이 끝나면 한 권의 스케치북이 남았다

콩과 팥을 그리는 화가 정정엽이

30년 동안 세계를 다니며 그린 풍경의 기록들


한 알의 콩처럼 수많은 나라를 굴러다니다

이중섭미술상, 고암미술상, 양성평등문화상 수상 작가 정정엽의 스케치 여행 에세이. 팥과 콩을 그리는 작가로 알려진 정정엽은 씨앗이자 열매인 곡식을 통해 우리에게 근원적인 이야기를 건네왔다. 화면 가득히 한 알 한 알 수행적으로 그려낸 팥과 콩은 여성의 반복되는 노동을 표현하고, 작은 존재들의 고유함과 응집된 생명력을 보여준다.

그는 씨앗들이 때가 차면 싹을 틔우듯이 우리는 각자 어떤 가능성을 품고 있는 한 톨의 콩과 같은 존재라고 말한다. 그리고 콩이 새로운 땅을 향해 굴러가듯, 자신도 콩처럼 여러 나라들을 여행했다고 이야기한다. “콩과 같은 내 모습은 특히 여행을 할 때 잘 발현되는 것 같다. 나는 모든 순간에 감사해하고 적응하며 다시 출발한다.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해 수많은 나라를 떠돌았다. 돌아보니 나는 콩처럼 잘도 굴러다녔다. 어디든 굴러갔다. 어떻게든 굴러갔다. 신나게 굴러갔다.”


30년 동안 그려온 40여 권의 스케치북 가운데 골라 담은 이야기

정정엽은 30년 동안 수많은 나라를 여행하며 가는 곳마다 한 장씩 풍경을 그려왔고 그동안 스케치북이 40권 정도 쌓였다. 이 책은 그가 그동안 다닌 여행지 중에서 킬리만자로와 데스밸리, 남미 등 쉽게 떠날 엄두를 내지 못하는 나라들의 이야기를 골라 담았다. 그리고 그곳들이 생각보다 멀지 않다고, 나이와 상관없이 접근할 수 있는 여행 방식이 있다고 말해준다. 1장에서는 그가 설산과 사막, 황무지를 찾아가 고요하지만 뜨거운 마음으로 홀로 지냈던 시간을 적었고, 2장에서는 오래전, 동료 작가들과 퍼포먼스 비엔날레에 참여하기 위해 남미로 날아가 한국의 예술을 알리기 위해 좌충우돌했던 날들을 들려준다.


일상을 살며 어렵게 얻어낸 여행의 시간들

30여 년 동안 꾸준히 여행을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가 처음 여행을 시작했던 90년대 중반은 우리나라에서 아직 해외여행이 보편화되지 않았던 시기이다. 더구나 결혼해서 아이가 있는 여성이 혼자 여행을 간다는 일은 사회적으로 이해받기 어려웠다. 하지만 여행은 작업과 육아, 살림을 병행하며 살아가던 그에게 숨 쉴 구멍과 같은 것이었다. “사흘 다녀오면 3개월을, 일주일 다녀오면 7개월을 살 수 있었다. 무슨 주사라도 맞은 것처럼 일상에 생기가 돌았다. 생각해보니 모든 여행을 떠날 때마다 늘 진퇴양난에 처해 있었다. 그리고 나는 역시 출발했다.” 김혜순 시인은 콩을 그리고 여행하는 정정엽을 시에 담았다. “정엽이는 집 떠나고 싶으면 등산용 배낭을 짊어지고 설거지를 한다/ 2층에서 마당으로 트렁크를 던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보다 더 자주 우선 정성을 다해 팥 한 알을 그린다/ 그 팥을 먼저 기차에 태우고 혹은 큰 배에 태워서”(김혜순, 「물구나무 팥」 중에서)


나만의 손때 묻은 기록을 갖고 싶다면

여행스케치는 오랜 세월 정정엽이 남긴 풍경의 기록이다. 그는 스케치하는 일이 ‘처음 그리기 감각을 즐기던 그림일기’ 같은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독자에게 여행 스케치를 해보라고 권한다. 잘 그려야 한다는 부담을 내려놓고 다른 사람의 시선에 조금만 뻔뻔해진다면 그리기의 즐거움을 만날 수 있다. 틀린 그림이란 없다. 선을 잘못 그으면 다시 그리려도 좋고, 겹쳐 그려도 좋을 것이다. 그림은 사진보다 기억을 더 잘 불러온다. 그리기 위해 유심히 보았던 풍경은 오랫동안 지워지지 않는다. “나만의 손때 묻은 기록을 갖고 싶다면 이제 작은 노트와 펜을 챙겨 보자. 어린 시절 그림일기를 그렸던 우리는 누구나 여행 스케치를 할 수 있다.”


지은이 | 정정엽

화가. 한국의 대표적인 여성주의 미술가. 일하는 여성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곡식, 나물, 감자 싹, 나방처럼 작고 미약한 존재들이 지닌 힘과 아름다움을 표현해왔다. 1980년대부터 회화뿐 아니라 드로잉, 설치, 퍼포먼스 등을 넘나들며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세상의 소외된 가치와 약자에 대한 연대와 공감을 변함없이 지켜온 작가’라는 평을 받는다. 이중섭미술상(2022), 양성평등문화상(2020), 고암미술상(2018) 등을 수상했다. 팥과 콩을 그리는 작가로 알려진 그는 씨앗이자 열매인 곡식을 통해 우리에게 근원적인 이야기를 건넨다. 화면 가득히 한 알 한 알 수행적으로 그려낸 팥과 콩은 여성의 반복되는 노동을 표현하는 한편, 작은 존재들의 고유성과 응집된 생명력을 보여준다.

국내외 유수의 갤러리에서 26회 개인전과 다수의 기획전을 통해 왕성히 활동해왔다. 개인전 「모욕을 당한 자이며 위대한」(2023, 갤러리 밈) 「조용한 소란」(2021, 서울식물원) 「최초의 만찬」(2019, 이응노의 집) 「지워지다」(2006, 아르코미술관)을 열었고, 기획전 「The 3rd Two」(2024, BBK, 뮌헨) 「접속하는 몸」(2024, 국립현대미술관) 「아시아 여성 미술제」(2012, 후쿠오카 아시아미술관, 후쿠오카) 지은 책으로 『한국 현대미술선 002: 정정엽』(헥사곤, 2011), 『나의 작업실 변천사』(헥사곤, 2018), 『작고 물렁하고 위대한』(미디어버스, 2025)이 있다.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목차

1부 ― 사막에서 혼자

여행노트 1 - 여행 스케치를 위해 필요한 것들

킬리만자로 - 그 산을 내게 주었네

우즈베키스탄 - 사막에서 엄마를 만나다

데스밸리 - 지구의 만 가지 표정

여행노트 2 - 빈 배낭을 메고 설거지를 했다


2부 ― 거리에서 우리

여행노트 3 - 남미 액션 투어 프로젝트

칠레 - 시인의 바다

아르헨티나 - 탱고를 추는 밤

우루과이 - 이곳에서 살았다면 그림을 그렸을까

브라질 - 이토록 다채로운 나날들

남아프리카공화국 - 그래도 아이들은 노래를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